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알바 임금 체불 신고 방법!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임금체불진정서 작성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르바이트 임금 체불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신고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막막하고 답답하셨다면 이 글 꼭 읽어보세요!
제자님 링크 넣으세요
1. 임금 체불, 어떻게 신고할 수 있을까?
사업주가 알바비를 안 줬을 때, 고용노동부 노동포털에서 직접 진정서를 제출해 해결할 수 있어요.
절차는 생각보다 간단하답니다 😊
1) 노동포털 접속 및 민원신청
먼저 고용노동부 노동포털에 접속해 주세요.
상단 메뉴에서 '민원신청 > 진정서(체불 등)'을 클릭하면 이동돼요.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준비해 주세요!
">
2) 진정서 작성하기
임금체불 진정서를 작성할 때는 아래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 근무한 사업장 명칭, 주소, 전화번호
- 근무 기간, 시간, 업무 내용
- 체불 금액과 발생 시기
- 체불 경위에 대한 설명
📄 꿀팁: 날짜와 대화 내용 등 최대한 구체적으로 적는 것이 좋아요!
">
3) 증빙자료 첨부
진정서 작성 후, 다음과 같은 증빙자료를 꼭 첨부해 주세요:
- 근로계약서
- 출근기록 (카톡, 캘린더 등)
- 급여 명세서 또는 입금 내역
- 대화 캡처 (문자, 카카오톡 등)
📷 꿀팁: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은 후 PDF로 변환해서 제출해 보세요!
2. 접수 후에는 어떻게 진행될까?
진정서 접수 후에는 근로감독관이 사건을 담당하며 조사에 들어가요.
1) 근로감독관 조사
접수되면 양측(진정인, 사업주)에게 연락을 하여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출석을 요구하기도 해요.
2) 시정조치 및 처벌
체불이 확인되면 사업주에게 시정지시가 내려지고,
이행하지 않으면 형사처벌로 이어질 수 있어요.
3) 체불임금 확인서 발급
조사 후 체불 사실이 인정되면 체불임금 확인서를 받을 수 있어요.
이를 통해 체당금(국가가 대신 지급해주는 돈) 신청이 가능하답니다.
마무리
오늘은 알바 임금 체불 신고 절차에 대해 알아봤어요!
정리하자면:
- 노동포털에서 진정서 제출
- 증빙자료는 꼼꼼하게 준비
- 조사 → 시정조치 또는 형사처벌
- 체불 확인 시 체당금 신청 가능
📣 혼자 끙끙 앓지 말고, 여러분의 권리를 지켜보세요!
반응형
'소상공인,자영업정보,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 미니멀라이프, 작게 살아도 충분한 이유 (3) | 2025.05.15 |
---|---|
수익형 블로그 ChatGPT 프롬프트 모음 + 예시 (1) | 2025.05.15 |
20대에 돈을 모아야 하는 이유, 복리의 마술 (0) | 2025.05.14 |
1인 사업자 소득 신고와 절세 방법 (1) | 2025.04.29 |
일용직 세금 종류와 공제기준및 환급방법 (0) | 2025.04.29 |